알잘딱정보

대한민국 예비군 훈련 총정리! 작계훈련까지, 기간·종류·꿀팁까지 싹 다 정리

컴식 2025. 4. 17. 07:30
반응형

 

예비군훈련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예비군 훈련에 대해 A부터 Z까지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군 전역 후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예비군 생활, 몇 년 동안 무슨 훈련을 받고, ‘작계훈련’은 언제 하게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지금부터 연차별 훈련 종류부터 작계훈련까지 전 과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

✅ 대한민국 예비군이란?

예비군은 군 복무를 마친 병력이 일정 기간 동안 국가 비상사태나 전시에 대비하여 편성된 조직입니다.
만 40세까지 예비군으로 분류되며, 전역 후 8년간 훈련 대상자가 됩니다.
(단, 직업군인·장기복무자 등은 일부 예외)

📆 예비군 훈련 연차별 구분

예비군 훈련은 총 8년간 진행되며, 해마다 훈련의 형태와 강도가 달라집니다.

연차구분훈련 종류기간/내용
1~4년차 동원지정자 동원훈련 2박 3일 or 1박 2일 실제 군부대 입소 훈련
1~4년차 미지정자 지역예비군훈련 1일차 8시간 동미참, 2일차 작계훈련 (일부 대상)
5~6년차 일반예비군 기본훈련 6시간 내외, 사격·전술 위주
7~8년차 간편예비군 기본훈련 면제 or 간소화 필요시 교육훈련소집

🟨 **작계훈련(작전계획훈련)**은 동미참훈련(지역예비군) 중 일부 대상자에게만 부여되는 특수훈련입니다.

🔥 작계훈련이란? (예비군 버전)작계훈련은 “전쟁 나면 이렇게 싸운다”는 시나리오를 실제로 훈련하는, 예비군 훈련 중 가장 전시에 가까운 훈련입니다.

주로 1~4년차 동미참훈련 시 마지막 날 또는 별도 일정을 잡아 시행되며, 지휘통제, 전시 상황 대응, 임무 수행능력 점검 등을 포함합니다.

📌 작계훈련 대상은?

  • 동미참훈련 대상자 중 선발
  • 민방위 이전 예비군 후반기 1~4년차 중심
  • 특히 예비군 중에서도 체계적으로 전시에 투입될 부대 (예: 향토사단 등)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인원

⏰ 작계훈련까지 얼마나 걸리나?

군 전역 후 예비군으로 편성되면:

  1. 바로 다음 해부터 1년차 예비군
  2. 1~4년차 동안 동원훈련 or 동미참훈련 실시
  3. 동미참 대상자 중 작계훈련 포함 시 보통 2~4년차 사이에 작계훈련 참여

예시:

✔️2022년 전역 → 2023년 1년차 예비군
✔️2023~2026년 사이에 동미참 훈련 받으며, 작계훈련 포함 가능성 있음

💡 작계훈련 꿀팁

  1. 출결 체크 철저히!
    작계훈련은 일반 예비군 훈련보다 더 빡빡하게 출결 관리됩니다.
  2. 복장 단정히 & 개인 장비 챙기기
    간단한 훈련도 있지만 모의 전시훈련인 만큼, 군복 착용과 기본 전투장비 체크 필요.
  3. 사전 공부 추천
    보고 체계, 임무 숙지, 간단한 군사용어 정도만 익혀도 훈련 참여가 훨씬 수월해요.
  4. 휴대폰 사용 여부 미리 확인
    일부 부대는 훈련 중 핸드폰 보관/사용 제한 있음!

🔚 마무리하며

예비군 훈련, 특히 작계훈련은 귀찮기도 하고 생소하기도 한 훈련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유사시 국가 전력의 핵심이 되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자세가 필요하겠죠.

군필자라면 피할 수 없는 예비군 훈련! 미리 알고 준비한다면 훨씬 덜 스트레스 받고, 빠르게 끝낼 수 있습니다.
다음에도 현실 밀착형 군 콘텐츠로 찾아뵐게요.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