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예비군 훈련에 대해 A부터 Z까지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군 전역 후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예비군 생활, 몇 년 동안 무슨 훈련을 받고, ‘작계훈련’은 언제 하게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지금부터 연차별 훈련 종류부터 작계훈련까지 전 과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
✅ 대한민국 예비군이란?
예비군은 군 복무를 마친 병력이 일정 기간 동안 국가 비상사태나 전시에 대비하여 편성된 조직입니다.
만 40세까지 예비군으로 분류되며, 전역 후 8년간 훈련 대상자가 됩니다.
(단, 직업군인·장기복무자 등은 일부 예외)
📆 예비군 훈련 연차별 구분
예비군 훈련은 총 8년간 진행되며, 해마다 훈련의 형태와 강도가 달라집니다.
1~4년차 | 동원지정자 | 동원훈련 | 2박 3일 or 1박 2일 실제 군부대 입소 훈련 |
1~4년차 | 미지정자 | 지역예비군훈련 | 1일차 8시간 동미참, 2일차 작계훈련 (일부 대상) |
5~6년차 | 일반예비군 | 기본훈련 | 6시간 내외, 사격·전술 위주 |
7~8년차 | 간편예비군 | 기본훈련 면제 or 간소화 | 필요시 교육훈련소집 |
🟨 **작계훈련(작전계획훈련)**은 동미참훈련(지역예비군) 중 일부 대상자에게만 부여되는 특수훈련입니다.
🔥 작계훈련이란? (예비군 버전)작계훈련은 “전쟁 나면 이렇게 싸운다”는 시나리오를 실제로 훈련하는, 예비군 훈련 중 가장 전시에 가까운 훈련입니다.
주로 1~4년차 동미참훈련 시 마지막 날 또는 별도 일정을 잡아 시행되며, 지휘통제, 전시 상황 대응, 임무 수행능력 점검 등을 포함합니다.
📌 작계훈련 대상은?
- 동미참훈련 대상자 중 선발
- 민방위 이전 예비군 후반기 1~4년차 중심
- 특히 예비군 중에서도 체계적으로 전시에 투입될 부대 (예: 향토사단 등)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인원
⏰ 작계훈련까지 얼마나 걸리나?
군 전역 후 예비군으로 편성되면:
- 바로 다음 해부터 1년차 예비군
- 1~4년차 동안 동원훈련 or 동미참훈련 실시
- 동미참 대상자 중 작계훈련 포함 시 보통 2~4년차 사이에 작계훈련 참여
예시:
✔️2022년 전역 → 2023년 1년차 예비군
✔️2023~2026년 사이에 동미참 훈련 받으며, 작계훈련 포함 가능성 있음
💡 작계훈련 꿀팁
- 출결 체크 철저히!
작계훈련은 일반 예비군 훈련보다 더 빡빡하게 출결 관리됩니다. - 복장 단정히 & 개인 장비 챙기기
간단한 훈련도 있지만 모의 전시훈련인 만큼, 군복 착용과 기본 전투장비 체크 필요. - 사전 공부 추천
보고 체계, 임무 숙지, 간단한 군사용어 정도만 익혀도 훈련 참여가 훨씬 수월해요. - 휴대폰 사용 여부 미리 확인
일부 부대는 훈련 중 핸드폰 보관/사용 제한 있음!
🔚 마무리하며
예비군 훈련, 특히 작계훈련은 귀찮기도 하고 생소하기도 한 훈련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유사시 국가 전력의 핵심이 되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자세가 필요하겠죠.
군필자라면 피할 수 없는 예비군 훈련! 미리 알고 준비한다면 훨씬 덜 스트레스 받고, 빠르게 끝낼 수 있습니다.
다음에도 현실 밀착형 군 콘텐츠로 찾아뵐게요. 감사합니다! 🫡
'알잘딱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티스토리 초보를 위한] 수익형 블로그 키우는 법 총정리 (27) | 2025.04.22 |
---|---|
인스타그램 리포스트 완전 정복! 스토리부터 피드까지 쉽게 따라하기 (0) | 2025.04.17 |
🎬 숏폼 콘텐츠의 시대: 방송사들의 새로운 전략 (0) | 2025.04.16 |
모링가 파우더, 디톡스가 필요할 때 찾게 되는 초록 가루 (0) | 2025.04.12 |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작지만 강한 영향력의 비밀 (0) | 2025.03.20 |